개발 아닌 다른것

[병원 정보 시스템] 03. 의학용어와 질병분류

universedevelope 2024. 9. 25. 09:33

 

 

안녕하세요. 병원정보기술 관련 내용을  필기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의학정보와 정보이론

--- 01. 용어 및 분류의 개요
	> 용어 및 분류의 의미
	  - 의학용어는 의료정보의 표현으로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 공통되는 이해와 올바른 질병분류를 위해서는 혼란이 없도록 의학용어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야 한다.
	  - 일반적으로 환자기록은 진료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몇몇 수치 데이터를 제외하면 대부분 프리 텍스트(Free
	    text) 형태이다.
	  - 환자기록은 일차적으로 환자관리 그 자체이며, 즉, 진단ㆍ치료ㆍ예후에 활용된다.
	  - 분류에서는 일반적으로 코드에 따라 의미상의 계층구조가 지정되나 코드화는 대상의 양상(Aspect)을 해석하는 것
	    이다.
	  - 분류(Classifications)는 논리학에서 유래되었으며, 생물학에서는 식물분류학, 동물분류학으로 활용된다.
	  - 의학에서는 질병분류학으로 활용되며, 수학에서는 집한론, 문헌정보학에서는 도서분류학으로 사용되고 있다.
	  - 코드나 분류체계가 인위적으로 설정된 것이라면 용어는 자연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 의학에서 정보를 송신자와 수신자가 전달체계를 명확히 인식함으로써 정확한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함이다.
	  - 역학, 공중보건, 임상연구, 문헌정리, 의학적 의사결정 등에 필요한 정보를 모으기 위해서는 어휘를 표준화 하고
	    분류 및 코딩시스템의 도입은 불가피하다.

	> 용어분류체계의 필요성
	  - 체계적인 용어의 필요성 : 체계화된 의학용어는 질병, 상태 및 수술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공통되는 의사소통
				     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또한 질병, 상태 및 수술에 관한 분류법을 확립하는
				     데 있다.
	  - 의학자료를 코딩함으로써 얻는 장점
	    > 데이터의 양적인 감소
	    > 어휘의 표준화
	    > 의학통계 및 연구가 용이
	    > 의사결정지원시스템과의 연계가 용이

	  - 의학자료를 컴퓨터에 저장해야 하는 필요성
	    > 효율적인 환자 관리
	    > 의료의 질적 관리(동일한 치료 결과 기대)
	    > 타 병원과의 자료 비교 분석
	    > 의사소통 관리
	    > 통찰력 증대
	    > 역학조사를 포함한 의학 연구, 병원 계획수립 및 경영자료 제공

	  - 용어분류체계(Terminology & Classfications)의 도입의 필요성
	    > 정확한 이해와 원활한 의사소통
	    > 환자의 병력 재구성의 어려움을 해소
	    > 병력 재구성이 어려운 원인
	      - 의학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부정확하게 사용
	      - 개념을 모호하게 표현
	    > 진료와 의학연구에 컴퓨터를 도입

--- 02. 분류법 및 코드화
	> 분류법
	  - 분류
	    > 분류(Classification)의 개념
	      - 비슷한 항목끼리 서로 묶는 과정을 의미
	      - 순차적이고, 함축적이고, 분류방법의 설계를 명백하게 하는 것이다.
	      - 사전지식에 근거를 하고 있으며, 지식의 확장에 중요한 역할 수행

	    > 분류의 의미
	      - 분류법을 디자인하는 프로세스 의미
	      - 분류되어 있는 개념의 용어들을 표기를 이용하여 대상을 코딩하거나 표현하는 의미

	    > 분류의 성질
	      - 동일한 내용을 다른 용어로 표현하는 유의성과 동일한 용어가 분야에 따라 다르게 해석하는 다의성의 특징을
	        갖는다.
	
	    > 분류체계의 규칙
	      - 분류군은 해부학적 부위, 원인 또는 의료의 전문성 등과 같은 단일분류 원칙에 따라 구분된다.
	      - 분류군에 속하는 분류체계의 한 분류 내에서 사용 가능한 진단 또는 수술 용어가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 주어진 진단용어가 분류체계의 한 그룹 이상에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 질병분류
	    > 질병분류의 개념
	      - 각각의 질병들을 어떤 체계 하에 무리 지어진 일정한 수의 어느 하나로 배정하는 것을 말한다.

	    > 질병분류의 목적
	      - 각각의 질병, 상태 및 수술에 대한 통계자료를 작성
	      - 국가 보건정책 및 의료기관 행정에 필요한 자료로 이용
	      - 각 의료기관의 질병, 상태 및 수술의 양상이나 구조를 파악
	      - 병원 간에 또는 국가 간의 자료를 비교 연구
	      - 분류된 자료를 색인하여 의학 연구, 교육 자료로 이용
	      - 의료의 질 평가 자료로 사용

	    > 질병분류의 의의
	      - 질병, 상해, 사인통계는 각국의 보건 및 복지행정에 관한 정책수립과 인구문제 및 의학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된다.
	
	    > 질병분류체계의 예
	      - 어떤 분류에서 처음부터 끝가지 순서 매김 원칙이 사용되면 이를 축(Axis)이라 한다.
		보건의료에서 일차 및 이차 분류체계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일차분류(First axis)]					[이차분류(Second axis)]
		=====================================================================================================
		[코드] [기관시스템]					[코드] [기관시스템] 
		=====================================================================================================
		A      전신성 및 상세불명(General and unspecified)	1~29   증상 및 호소(Symptoms and complaints)
		B      혈액(Blood)					30~49  진단과 예방(Diagnostic screening and
											   prevention)
		C      소화기(Digestive)				50~59  치료와 투약(Treatment and medication)
		D      눈(Eye)						60~70  검사결과(Test Results)
		E      귀(Ear)						71~79  기타(Other)
		F      순환기(Circulatory)				
		G      근골격(Musculoskeletal)
	 	H      신경(Neurological)
		I      정신(Psychological)
		J      호흡기(Respiratory)
		K      피부(Skin)
		L      내분비(Endocrine and metabolic)
		M      비뇨기(Urology)
		N      여성기(Female genital system)
		O      남성기(Male genital system)
		=====================================================================================================

	> 코드화
	  - 코드의 개념
	    > 코드의 정의
	      - 데이터를 사용목적에 따라 식별, 분류, 배열하기 위해 사용하는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의미한다. 코드는 넓
		은 범위에서 통용되는 경우 특허, 국제적인 공통 코드는 컴퓨터 처리를 전제로 하지 않더라도 이용가치가 있
		다.

	    > 코드화(Coding)의 정의
	      - 코드화는 부호화를 의미하며, 개별의 대상 (Object)에게 항목별로 숫자나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부여하는
		것이다. 코드화는 질병분류체계에 따른 질병명의 대표 값을 부여하는 것이다.

	    > 코드의 필요성
	      - 대량의 자료를 구별, 동질의 그룹으로 분류하고 순번으로 나열하며, 특정자료를 선별,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하다.
	
	    > 코드화의 목적
	      - 진단명 또는 수술명 별 정보의 인덱스 및 검색
	      - 질병 및 수술에 관한 보건통계자료의 산출 및 이용
	      - 현재 치료비 지불제도에서 DRG시스템 적용

	    > 코드의 의의와 효과
	      - 코드화는 진단 및 의료행위에 관한 대규모 분류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의료, 경제적 목적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를 코드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 질의료에 있어서 질병, 상해 및 처치과정을 숫자화와 코딩 업무는 의무 기록 실무자가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의료정보 처리 업무이다. 모든 질병, 상해 및 처치과정 등이 코딩되어야 색인할 수 있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보험환자 요양급여 신청서와 각종 진단서에 반드시 상병명 코드번호를 기재하도록 요구
		하고 있다.


	    > 코드의 설계시 특성 및 유의사항
	      =======================================================================================================
	      [특성]					[유의사항]
	      =======================================================================================================
	      고유성 : 의미가 1:1대응			처리의 적합성
	      편리성 : 분류기준 및 갱신이 용이		사용의 편리성
	      표의성 : 알아보기가 용이			코드의 공통성
	      용이성 : 기계 처리 시 집계 등이 용이	코드의 체계성
	      확장성 : 코드의 추가로 확장이 용이	코드의 유연성(확장성)
	      함축성 : 적은 자리수로 많안 항목 표시
	      독립성 : 코드 체계의 중복성 배제
	      =======================================================================================================

	  - 코드의 기능
	    > 코드의 기능 분류

	      =======================================================================================================
	      [기본적 기능]	[3대 기능]	[부가적 기능]
	      =======================================================================================================
	      표준화 기능	분류 기능	연상 기능
	      간소화 기능	식별 기능	암호화 기능
	      			배열 기능	오류 검출 기능
	      =======================================================================================================

	  - 코드의 분류
	    > 분류코드는 분류기준에 의해 체계적인 분류가 가능한 코드이며, 분류가 지나치면 오히려 실용성을 상실할 경우
	      가 있다.
	    > 양질의 코드화를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코딩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코드는 사용하는 숫자, 문자, 기호 등과 설계 방법에 따라 목적에 의한 분류와, 기능에 의한 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목적에 의한 분류 코드 : 식별을 주목적으로 하는 코드로 불변 속성을 가지며, 하나의 코드가 반드시 1:1 대
					응 관계를 유지
	      - 기능에 의한 분류 코드 : 의료분야에서 숫자나 알파벳 문자 또는 이 두 가지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 코드의 분류와 의미

	      =======================================================================================================	
	      [코드]	    [의미]
	      =======================================================================================================
	      숫자코드	    새로운 항목에 숫자로 구성된 연속적인 값이 순차적으로 부여된 코드이다. 이 코드는 새로운 코
			    드의 생성이 용이하며, 난수를 이용하여 환자의 특정한 정보를 숨기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연상기호코드  하나 이상의 문자를 통하여 그 항목이 연상되기 용이하도록 만들어진다. 이 코드는 사용자가 코
			    드를 기억하기 쉬우나, 하지만 대량의 분류에서 항목의 의미와는 동떨어진 코드가 생성될 수 있
			    다.

	      계층구조코드  이 코드는 이미 나와 있는 간단한 코드를 하나이상의 문자를 더하여 새로운 코드를 만드는 것이
			    다. 이 코드는 본질적으로 그 항목의 상위코드나 그 항목과 관련이 있는 코드에 대한 정보를 내
			    포할 수 있다.

	      조합코드      치료 과정의 행위, 기구, 목적 그리고 해부학적 위치를 순서로 배열하여 이용하는 법이다.(해부
			    학적 부위 100, 행위 20가지, 도구 10가지, 목적 5가지와 결합하면 10만개 분류체계가 가능)
	      =======================================================================================================

	      =======================================================================================================
	      [코드]	    [사용 예]
	      =======================================================================================================
	      숫자코드	    100 : 심장침습이 없는 류마티즘열
			    101 : 심장침습이 있는 류마티즘열
			    102 : 류머티즘 무도병
			    103 : 류머티즘 승모파 질환

	      연상기호코드  ENT : 이비인후과
			    OB/GYN : 산부인과(Obstetrics & Gynecology)
			    CAR : 심장내과
			    GP : 내과/외과 일반(General Practitioner)

	      계층구조코드  003			기타 살모넬라 감염
				-003.0		살모넬라 위장염
				-003.1		살모넬라 패혈증
				-003.2		국소성 살모넬라 감염
					-003.20	비특정 국소적 살모넬라 감염
					-003.21	살모넬라 뇌막염

	      조합코드      Q2950 : 치열수술
			    S5116 : 인공수정체 교환술
			    S5118 : 인공수정체 삽입술
	      =======================================================================================================

--- 03. 어휘록 및 명명법
	> 어휘록의 정의
	  - 어휘록(Thesaurus)이란 의학이나 음악 등 특정한 분야(도메인) 에서 쓰이는 특수용어 및 개념을 모은 것으로, 전
	    분야를 포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실용적 측면에서 어휘록은 그 분야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동의어를 포함
	    하기도 한다.

	> 명명법의 정의
	  - 명명법(Namenclature)은 라틴어의 "Nomen"과 "Clature"에서 유래하였으며 영어의 "name"과 "call"의 뜻으로 예술
	    이나 과학에서 사용되는 이름의 체계를 의미한다.
	  - 의학 명명법(Medical namenclature)은 질병 및 상태와 수술ㆍ처치 등을 나타내는 체계적인 의학용어이다.
	  - 의료정보의 관리와 질병 및 수술분류에 필수적인 도구이다.
	  - 의학에서 명명법은 의학 개념에 따라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 분류법과 명명법의 차이점
	    
	    =========================================================================================================    
	    [분류법(Classfications)]					[명명법(Namenclature)]
	    =========================================================================================================
	    전문용어를 일정한 체계하에 사용				과학이나 예술 분야에서 사용
	    사용 가능한 코드가 미리 정해져 있어 새로운			사용자가 자유롭게 코드를 조합하여
	    양상 표현이 어려움						새로운 양상 표현 가능
	    DB에서 분류코드에 맞는 자료추출이 용이함			DB에서 명명법에 의존한 자료추출이 어려움
	    지식 확장에 중요한 역할					의학개념에 따라 코드가 할당
	    =========================================================================================================

--- 04. 질병분류의 발전
	> 질병분류의 발전과정
	  - 히포크라테스 시대에 질병을 혈액(Blood), 흑담즙(Black bile), 객담(phlegm)의 4가지 체액에 관련시켜 분류하였
	    고, 이것이 의학사상 최초의 질병분류였다.
	  - 보건의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분류체계는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와 ICD 에서 파생된
	    분류이다.
	  - 우리나라는 현재 ICD-10 개정판을 골격으로 하여 만든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3차 개정판을 사용하고 있다.

	  - 국내 질병분류의 역사
	    =========================================================================================================	    
	    [구분]	[의미]
	    =========================================================================================================
	    1938년	인구동태 조사사무에 착수하면서 제4차 국제사인표(1929년 발행)를 채택
	    1945년	8.15 이후 제5차 개정 국제 사인표(1938년 발행)를 사용
	    1952년	WHO권고안과 국내 실정을 감안 한국사인 상해 및 질병 분류를 제정
	    1968년	경제기획원 제8차 개정 국제 질병 분류에 의거 한국 질병사인 분류를 개정, 제1차 개정판 출판(1973
			. 1. 1부터 사용)
	    1979년	한국표준질병인사분류 2차 개정판을 사용(1995년 6월까지 사용)
	    1993년	한국표준질병인사분류 제3차 개정안 출판
	    1995년	ICD-10차 개정판 출판 따라 제3차 개정판 사용(1995년 7월부터 사용)
	    2004년	한국표준질병인사분류 제4차 개정판 출판(2004년 1월부터 사용)
	    =========================================================================================================

	  - 국제 질병분류의 역사
	    =========================================================================================================
	    [구분]	[의미]
	    =========================================================================================================
	    1629년	런던의 사망율 조사에서 사인분류 시도(통계적 관점의 최초 시도)
	    1755년	William Cullen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질병은 분류한 사람
	    1837년	William Farr가 해부학적 부위에 의거 질병분류체계를 발표
	    1893년	미국에서 Jacques Bertillon이 international List of Death Causes 출판
	    1900년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초판 발행, 질병분류 통계 시작
	    1919년	SND(Standard Classified Nomenclature of Diseases)출판, 명명법 이론 통합
	    1933년	미국에서 SNDO(Standard Classified Nomenclature of Diseases) 출판
	    1946년	International List of Causes of Morbidity(WHP 주관)
	    1948년	International List of Diseases and Causes of Death
	    1965년	SNOP(Systematic Nomenclature of Pathology) 출간
	    1975년	WHO 주관으로 46개 회원국이 현대임상개념으로 ICD-9-CM 출간
	    1992년	알파벳이 숫자 앞에 붙는 alphanumeric code로 ICD-10 출간
	    =========================================================================================================	    

--- 05. 질병 분류의 체계
	> 질병분류는 질병이나 부상은 증상이나 검사소견, 병변의 부위, 치료방법, 경과 등 다양하다.
	> 질병분류는 의무기록 치료를 근거로 하고, 그리고 사망원인 분류는 사망진단서에 근거하여 질병이환 및 사망원인은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그룹화한 것이다.
	> 질병분류는 증상, 경과 등의 유사성에 따라 질병이나 부상을 분류해서 예방이나 치료에 대해서 검토할 수가 있어야
	  한다.
	> 질병분류체계는 의료행위 분류의 진단 코딩 체계에 따라 대부분 ICD계열과 호환을 이루려고 하지만, ICD 자체는 제
	  한된 관점만을 나타내므로 사용자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는 없는 실정이다.
	> 현재의 등록체계는 대부분 ICD-9, 또는 ICD-9-CM(Clinically Modified)에 기반을 두고 있다.
	> ICD-9 & ICD-9-CM의 질병코드는 장(Chapter)으로 그룹화 된다.
	> WHO에서 ICD-10개정판을 내면서 수술, 처치, 분류책자는 출판하지 않아 우리나라 의료기관에서는 미국에서 현재 사
	  용하고 있는 ICD-9-CM Vol.Ⅲ(procudures)를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다.
	> 국제질병분류(ICD-9)의 4단위 코드수준과 ICD-9-CM에서 확대된 5단위 코드 수준
	  ===========================================================================================================
	  [코드(Code)]				[질환]
	  ===========================================================================================================
	  001-139				감염과 기생충 질환
	  001-009				소화기계 감염성 질환
	  003					기타 살모넬라 감염
	  	-003.0				살모넬라 위장염
		-003.1				살모넬라 폐혈증
		-003.2				국소성 살모넬라 감염
			-003.20			비특정 국소적 살모넬라 감염
			-003.21			살모넬라 뇌막염
			-003.22			살모넬라 폐렴
			-003.23			살모넬라 관절염
			-003.24			살모넬라 골수염
			-003.29			기타 국소적 살모넬라 감염
			-003.8			기타 특정 살모넬라 감염
			-003.9			비특정 살모넬라 감염
	  ===========================================================================================================

	> 의료행위 분류체계
	  ===========================================================================================================
	  [분류체계]				[의미]
	  ===========================================================================================================
	  ICD					질병의 특별한 징후보다는 병인에 근거 등 질병의 분류에 초점 둠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환자기록을 추출하기 위한 전형적인 코딩체계
	  Diseases)				진단용어의 코드화를 목적으로 WHO에서 관리
						(3자리 기본 코드) + (4자리 상세코드)로 구성
						ICD-CM(임상 개정판), ICD-A(미국판) 등의 변형 코드
						ICD-10 : 1989년 제네바에서 결정된 10번째 개정안(최신판)
	  SNDO
	  (Standard Classified NomenClature	1933년 미국에서 표준질병분류명명법 초판 출판
	  of Diseases)				부위와 병인에 의해 정렬된 진단용어 시스템
						5판과 마지막판은 1961년 미국의학협회에서 출판되었으며 수술처리 분류용
						으로 3번째 축이 마련
						미국 병원들은 ICD의 미국수정판 ICD-A가 나오기 전까지 이 시스템을 사용
	
	  SNOP
	  (Systematic Nomenclature of Path	1965년 미국병리학회는 병리학의 체계적 명명법 출간
	  ology)				국소학(topography), 형태학(morphology), 병인(etiology), 기능(function
						)의 4가지 축
						SNOMED의 기초

	  SNOMED
	  (Systematic Nomenclature of Human	1975년부터 1979년까지 개정
	  and Verterinary Medicine)		11개의 축(T, M, L, C, A, J, S, D, P, G)으로 구성
						자유로운조합으로 표현이 다양하지만 컴퓨터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코드 확
						인 불가능

	  CPT					치료비에 의거한 진단과 치료 과정을 정리
	  (Current, Procedural Terminology)	(미국 의료보험과 관련하여 많이 사용)
	
	  ICPM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1976년 WHO가 발간
	  Procedures in Medicine)		진단, 검사, 예방, 수술, 기타 치료과정에 대한 내용
						ICD-9-CM의 과정(P-coded)부분은 모두 이것을 근간으로 만들어짐
						독일, 네덜란드에서는 의료보험 청구나 관리에 필수적인 요소

	  RCC					1980년 영국의사 James Read에 의해 만들어짐
	  (Read Clinical Classification)	전자의무기록(EMR)을 위하여 만들어짐
						환자기록을 표현하기 위한 거의 모든 용어를 포함
						거의 모든 표준 분류와 교차확인 가능

	  ATC
	  (Anatomic Therapeutic Chermical	약체를 확인하는 데 제조물질, 투여방법, 용량 등을 포함
	  Code)					치료학적 특성은 물론 다른 체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화학적 특성을 제시
						약제의 체계적이고 계층 구조적 분류
						약제 이용연구의 WHO 표준
						복합 체제나 피부 연고는 포함할 수 없음
						대체, 약제를 선택할 수 있고, DSS를 통해 약제 반응과 이중 처방, 용량조
						절 등에 활용

	  MeSH					국제적인 의학 문헌 색인
	  (Medical Subject Headings)		미국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서 발간된 의학서적 색인 분류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UMLS) 발전의 근본
						계층구조 형태로 개념을 표시

	  UMLS					미국 국립의학도서관의 장기 프로젝트로 개발됨
	  (Unified Medical Launguage System)	문헌정보, 의무기록, 지식기반 등 서로 다른 원천의 정보를 개념적으로 연
						관시키려는 시도
						보건 의료분야 문헌자료, 임상기록, 데이터은행, 지식기반시스템, 인명부, 
						기관명부가 포함됨

	  ICPC					외래, 입원, 수술 등 임상적인 상황을 코드화 사용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구조화된 방문상담결과를 코딩하는데 사용
	  Primary Care)				발병에서 해결까지 질병부위 등록 관리에 사용 가능
						세부사항이 ICD-9보다 떨어지나 진단, 검사, 치료와 코드화에 이용
	  ===========================================================================================================

--- 06. 질병분류의 표준화
	> 표준분류의 목적 
	  - 다른나라의 다른지역 또는 다른시기에 수집된 사망과 질병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기록, 분석 비교할 수 있도
	    록 하는 데 있다.
	> 자료를 저장하고 찾아보며 분석할 수 있도록 질병의 용어, 즉 진단명과 보건ㆍ의료문제에 관한 용어를 알파벳과 숫
	  자를 결합한 부호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 병명과 동일하게 수술이나 처치와 같은 의료행위도 코드화해서 통계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 의료정보화에서 응용 분야의 개발자들은 표준 용어집의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사용할 때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 의료정보화에서 많이 응용되는 분야는 병원이나 개원가의 청구시스템을 지원하는데, 현재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임
	  상정보를 위한 수술이나 처치를 분류하기 위한 코드로 ICD-9-CM이 거의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다.
	> 병원정보시스템에서는 포괄의료제도인 DRGs(Diagnosis Related Group)를 사용한다.
	> 임상시스템을 위한 표준용어를 채택한 국가
	  ===========================================================================================================
	  [구분]	[의미]
	  ===========================================================================================================
	  영국		전자의무기록에 Read Code 사용
			사용자들이 잘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해주는 일상 보고서에서 이용

	  네덜란드	의사의 진료 시스템을 국가적으로 표준화
			진단과 외래 방문의 사유를 기록하는데 ICPC를 사용

	  미국		대부분 임상정보시스템의 표준용어집을 꺼려하고, 자체 개발한 용어를 사용
			표준을 채택하는데 실패한 이유
			- 사용가능한 표준이 여러 분야를 취급하지 못함
			- 환자진료를 지원하기 위한 임상정보를 자세히 표현하지 못함

	  일본		보험 청구용의 수술명 코드를 할당한 K-코드(일본 독자코드) 사용
			어떤 분류체계에 기초해서 코드가 작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보험청구용의 수술명에 번호를 즉흥
			적으로 붙인 코드
	  ===========================================================================================================
	> SNOMED International은 광범위한 내용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왔기 때문에 많은 시스템 개발자들이 현재 사용
	  을 고려 중에 있다.
	> 문제점은 기존의 시스템과, 새로운 시스템 사이의 연속성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임상시스템의 경향은 검사실, 약국,
	  방사선과 등의 보조시스템에서 모아진 환자 진료를 중앙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처리한다.
	> 의료용어의 사용은 목적과 구조 특성에 따라 100여개의 의료용어체계 표준이 통용되고 있으며 또한 각 분야별로 분
	  류체계를 이용 활용하고 있다. 간호분야에서는 NANDA(Acronym for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 치의학에서는 CDT(Current Dental Terminology), 종양학에서는 PDQ(Physicians Data Query)가 통용된다.
	> 1986년에 국립의학도서관에서는 의학 및 의료분야에서 사용되는 각종 용어체계를 공통 개념으로 통합하기 위하여 U
	  MLS(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 프로젝트를 시작했고,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용어 및 분류를 표준화하기 위
	  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03. 의학용어와 질병분류.md
0.03MB

 

 

출처 : https://blog.naver.com/vae3085/220655569821

 

제3장 의학용어와 질병분류

제3장 의학용어와 질병분류   1. 용어 및 분류의 개요   1) 용어 및 분류의 의미  - 의학용...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