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아닌 다른것

[병원 정보 시스템] 11.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EMR

universedevelope 2024. 10. 17. 08:26

 


안녕하세요. 병원정보기술 관련 내용을 필기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전자의무기록시스템 EMR

--- 01.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의 필요성
	> 종이 기반 의무기록의 문제점
	  - 관리상의 문제 : 분실, 부정확, 보관 공간의 부족
	  - 기술양식상의 문제 : 비논리적 기술, 정보 검색의 지연, 용어의 비표준화
	  - 이용 상의 문제 : 하루 여러 개과 진료 자료의 누락, 동시 사용 불가
	  - 정보통합의 문제 : 환자의 각종 진료정보 교환 제한
	  - 기타 : 임상 정보 분산, 필체 식별불가, 기록내용 모호, 자료누락, 의사결정 도구로서의 역할 미흡

	> 처방전달시스템과 전자의무기록 비교
	
	  ===========================================================================================================
	  [구분]	[처방전달시스템(OCS)]				[전자의무기록(EMR)]
	  ===========================================================================================================
	  구축시기	90년대 초/중반					90년대 말(본격적인 구축은 2000년 이후)

	  목적		정보기술을 이용한 업무효율 및 서비스 개선	정보기술을 이요한 진료의 질적 향상

	  처리정보	보험/원무정보 중심+환자정보 병명, 처치/처방 등	OCS정보+증상, 문진내역, (가족)병력 등
	  ===========================================================================================================
	  - 처방전달시스템은 문자적인 의미 그대로 처방전달과정을 정보통신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이며, 환자의 편의성 향상과 병원의 수익성 개선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었음. 처방전달시스템의 성공적인 진입은 향후 전자의무기록이나, PACS와 같은 대형 정보시스템을 병원에 도입
	    함에 있어서 전기를 마련하게 됨

--- 02. 전자의무기록(EMR)의 개념
	> 정의
	  - 미국의 의무기록연구소(Medical Record Institute 2005)
	    > 환자의 진료행위를 중심으로 발생한 업무상의 자료나 진료 및 수술, 검사기록을 전산 기반으로 입력, 정리, 보
	      관하는 시스템
	  - 미국 의학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
	    >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고 의료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주어 임상결정을 도와주기 위한 병원정보시스템이나 처방전
	      달시스템의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전자적 형태의 환자기록
	  - ISO/TC 215 WG 1
	    > 환자의 기록을 작성, 사용,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하는 구성요소의 집합체
	  - 미국의학회(Institute of Medicine) 
	    > 완전하고 정확한 자료와 여러 가지 의학지식에 기초한 기억보조와 의사결정 보조도구 등을 이용한 전문가 시스
	      템을 통해 사용자를 지원하는 체계 위에 세워진 전자형식의 의무기록

	> 의료정보화의 발전과 전자의무기록의 개념
	  - 디지털 병원 구현을 위한 전자의무기록의 현황 및 전망, 2006. 11, 전자공학회지 제33권 11호
	    > 디지털 병원 구현을 위한 4무 개념 즉 paperless, slipless, filmless, chartless의 개념 대두
	    > Paperless 추구 : 경영정보시스템을 병원에 적용하였던 1970~80년대의 병원정보시스템(HIS : Hospital Informa
			       tion System)
	    > Slipless 추구 : 90년대 초반부터 지난 10여년간 진행되어온 처방전달시스템(OCS : Order Communication Syste
			      m)
	    > Filmless 추구 : 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한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
			      n System)
	    > Chartless 추구 : 전자의무기록은 지금까지의 모든 less 개념을 총망라하여 의료기관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진
			       료기록을 전산화하여 통합의료정보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함
	    > HIS, OCS, PACS에서 산출되는 각종 기록지, 서식지, 처방지, 검사 결과 및 판독지 등은 전자의무기록이라고 하
	      는 하나의 솔루션으로 통합되어야 함
	    > 전자의무기록은 병원에서 사용되는 종이 또는 문서 양식에 기록되어온 모든 의료기록을 없애고, 모든 데이터를
	      전산 매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현재 개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병원정보 시스템, 임상정보 시스템,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보건의료 정보망, 그리고 의학지식기반의 구축의 핵심적 하부 구조를 형
	      성

	      * 참고사항
		- 디지털 병원
		  > 전자의무기록(EMR)을 기반으로 하여 진료차트, 환자용 진료의뢰서, 처방전, X-ray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데이터로 완전히 대체하여 정보시스템만으로 병원운영 및 진료 전과정을 처리하며 병리검사나 필
		    름판독 등의 검사결과를 휴대폰이나 이메일로 알려주는 최첨단의 신개념 병원
		  > 앞으로는 CP(Clinical Pathway), CDS(Clinical Decision Support), DW(Data Warehouse)를 포함하고, EHR
		    (Electronic Health Record)을 기반으로 하여 웹을 통한 e-healthcare의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되는 시
		    스템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통용되는 전자의무기록의 개념은, 기존 핵심 솔루션이었던 HIS, OCS, PACS같이 별도의
	      정보시스템으로 잘못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용어의 사용도 혼돈

	> 전자의무기록 발전 형태 및 용어 개념 정리
	  - 미국 의무기록연구소(Medical Record Institure)의 5가지 형태 구분을 중심으로 설명함
	    > AMR(Automated Medical Record)
	      - 의사는 종이 챠트에 의료정보를 기록
	      - 의무기록실에서 컴퓨터를 도입하여 의무기록을 관리
	    > CMR(Computerized Medical Record)
	      - 종이챠트 중심의 진료를 하고 이를 스케닝하여 인덱스가 구성된 이미지 형태로 저장, 관리(광파일 시스템)
	      - 서명을 포함한 의무기록지의 정보구조 유지
	      - 입력된 자료의 분석이나 지식/정보의 생성이 현실적으로 불가능
	    >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 의사가 직접 진료기록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자료는 데이터베이스로 관리
	      - 모든 의학 자료의 수집과 관리, 이용은 의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짐
	      - 의료정보 유통은 병원 내로 한정됨
	        
		* 국내에는 EMR 이란 표현이 전자의무기록 전체의 대표용어로 대중화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전자의무기록은 손으로 작성하던 의무기록을 기존의 모든시스템과 함께 통합하고 컴퓨터를 통해 진료에 필
		  요한 모든 정보를 입력, 공유, 검색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며, CMR과 EMR 두 축을 중심으로 함
	    > CPR(Computer-based Patient Record)/EPR(Electronic Patient Record)
	      - 환자중심의 의무기록과 글로벌 의료정보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의료정보의 유통이 전 세계적으로 가능한 단계
	      - 의료정보가 병원 내에서만 유통되는 것이 아니므로, 정보의 소유와 사용에 대한 새로운 합의가 필요
	      - 의료정보의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 마련되어 모든 단위시스템에 탑재되어야 함

	    > EHR(Electronic Health Record)
	      - 의료정보의 범주가 병원에서 발생된 환자자료 이외에 건강에 관한 모든정보(예, 식습관, 흡연습관, 예방접종
		등)로 확대
	      - 개인은 평생의 건강과 관련된 기록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의료기관은 정보의 제공자인 동시에 소
		비자가 됨
	      - 미국의 Medical Records Institute등의 주요기관 주도하에 EHR이란 명칭이 지금까지 출현한 모든 전자의무기
		록을 대표하는 용어로 자리 잡고 있음

--- 03. 전자의무기록의 효과
	> 데이터 접근성의 향상
	  - 필요시 쉽게 원하는 자료를 찾을 수 있음
	  - 동시에 여러 명이 사용 가능
	  - 응급환자의 경우 즉시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신속한 진료가 가능
	  - 가독능력 및 정보 전달력 향상
	  - 정보공유와 의사소통이 촉진

	> 자료의 질 향상
	  - 자료의 표준화로 이용자가 쉽게 이해
	  - 입력 오류방지로 진료정보의 질 향상
	  - 문제 지향식 의무기록의 실현이 용이
	  - 구조화된 입력방식으로 일관된 기록 유지
	  - 상세하고 완전한 기록
	  - 데이터베이스화로 정보의 중복을 방지하여 데이터 갱신시 일관성 유지
	
	> 신속한 의사결정 및 QA 활동 활성화
	  - 진료시 환자에 대한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
	  - 지능적 에이전트 프로그램과의 연계로, 임상의들이 흔히 범하기 쉬운 실수를 미연에 방지(예 : 각 약물과 약물의
	    상호작용을 검색하고, 환자의 상태를 확인해서 경보 제공)
	  - QA활동이 활성화되고, 지속적인 관찰이 용이
	
	>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검색 및 표현
	  - 테스트,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 검색 가능
	  -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식(도표, 플로우차트 등)으로 표현 가능

	> 교육 및 연구수준의 향상
	  - 많은 귀중한 임상정보를 교육 및 연구에 활용이 용이
	  - 각종 임상정보의 통계 추출이 용이
	  - 의사들의 연구 활성화
	  - hospital based research 가능
	
	> 비용절감
	  - 의무기록을 보관할 공간, 인력, 운송수단 등이 필요 없으므로 막대한 비용 절감
	  - 다양한 정보를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인 보관 및 관리 가능

--- 04. 전자의무기록의 조건
	> 의무기록지가 필요한 다른 부서와 의무기록지를 공유하여야 하므로, 다른 부서와 자료를 공유하기 위해서 처방전달
	  시스템이 필요
	> 의사들이 챠트 입력에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를 막기 위하여 의사들이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
	> 법적,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고 진료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의사의 입력 작업이 간단하여야 하며, 진료 기록의
	  보안이 유지되어야 함
	
--- 05. 전자의무기록의 기능
	> 용어 및 코드 관리 : 모든 임상적 상황을 표준화하여 표현하고 입력 가능해야 함
	> 서식관리 : 표준서식 제공 및 서식 생성 기능
	> 다양한 입력 지원 : 단축키, 약어 입력 지원, 상용구 제공, 키보드 이외에 펜/음성/이미지 입력 지원
	> 이미지 관리 : 외부의 자료나 기존의 종의의무기록 및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종이문서(환자동의서, 수술동의서 등
			)의 효율적 관리
	> 장비 인터페이스 : 의료장비로부터의 데이터 연동
	> 데이터웨어하우스 : 풍성한 정보의 가공 및 지식 추출
	> 보안 관리 : 극히 사적이며 건강과 생명에 직결된 정보이므로 보안은 매우 중요
	> 모바일 연동 : 스마트폰 및 태플릿과의 연동(POC 실현에 유용)
	> 외부시스템 연동 : HL7 및 DICOM 인터페이스 제공

--- 06. 전자의무기록 구현의 어려움
	> 복잡한 진료자료와 지식의 모델링 필요(멀티미디어 DBMS, 지식기반, 인공지능 등)
	> 의학용어의 표준화(ICD, SNOMED, MeSH, UMLS 등)
	> 인간적인 측면(Human Interface, 보안, 비밀보장 등)
	> H/W, S/W, N/W 등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
	> 보건의료인력에 대한 컴퓨터 교육 훈련의 부족(컴퓨터에 대한 불신/거부감)

--- 07. 전자의무기록시스템 구축 사례
	> COSTAR(Computer Stored Ambulatory Record)
	  - 임상 진료의 향상과 행정, 경영, 재정 정보기능을 통해 진료지원 기능 제공이 목적
	  - 메사츄세츠 제너럴 병원에서 바넷 등에 의해 1960년에 개발
	  - 최초의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외래환자 진료를 위한 의무기록 전산화)
	  - 초기에는 HCHP(Havard Community Health Plan)을 위해 만들어 졌으나 여러 번의 수정 보완을 거쳐 1978년 COSTAR
	    5버전 상용화
	  - 최근 HL5 표준을 따르는 메시징 기반 웹 버전 출시

	> RMRS(Regenstrief Medical Record System)
	  - 인디애나 대학 의료원에서 맥도널드 등이 개발
	  - 1974년부터 위셔드 메모리얼 병원에서 사용
	  - 1400개이상의 생성법칙에 기반한 기억보조프로그램이 특징(적극적으로 모든 환자의 의무기록을 검색하여 각 환자
	    에게 알맞은 처치 안내문 제공)
	  - 환자진료 후에 담당 의사는 방문기록지에 경과기록과 문제 목록을 갱신하고 치료약과 검사처방 등을 기록하고 사
	    무원이 추후에 컴퓨터에 입력

	> TMR(The Medical Record)
	  - 듀크대학을 중심으로 종이 의무기록을 완전히 대체하는 목표하에 1975년 개발
	  - 약물 처방은 의사가 스스로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약물 상호작용이나 알레르기 정확한 처방용량과 관련된 문제들
	    을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시간으로 검증해주어서 진료의 질을 향상
	    
	    * 국내에서는 1995년 서울의대 김주한 교수팀에서 개발하여 신경정신과 임상진료에 실제 사용되기 시작한 PshBas
	      e가 최초라 할 수 있음

--- 08. 전자의무기록의 발전을 위한 기능적 고려사항
	> 국내 현실에서 전자의무기록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능적 요건은 다음과 같음
	  - Document : 진료 자료의 paperless 구현(국내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김)
	  - Workflow : 원내 모든 업무의 연속적/체계적 관리
	  - CDS & DW/KM : 임상의사결정지원 & 데이터웨어하우스/지식경영
	  - 입력편의성 : 사용자의 편이성, 간편성(국내에서 중요하게 여김)
	  - Security : 환자의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직급별, 직책별, 직무별 보안
	  - Communication : 방대한 환자정보의 원활한 통신
	  - 확장성 : 전자의무기록의 발전적 단계에 합당한 원활한 확장성
	  - 인터페이스 : 기존의 시스템(Legacy)과의 원활한 정보교환 및 인터페이스

--- 09. 전자의무기록 표준화
	> 표준화기구 중 하나인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은 1898년에 미국에서 조직되어 2012년 2
	  월 현재 141개 분야에 표준화 위원회를 두고 있는 단체이며, 매년 'Annual Book of ASTM Standard'책자를 발간하고
	  있다.
	> E31 기술위원회에서 Healthcare Informatics관련 표준화를 주도하여 의료정보관련 표준안은 HL7과 연계하여 제정되
	  고 두 단체에서 나오는 표준안의 포맷과 메시지 구조가 동일하게 구성
	> ASTM의 의료정보관련 표준안 중에서도 E1384는 EHR(←CPR)로 가기 위한 논리적인 구조와 깊이있는 내용에 대한 표준
	  을 제시하여 의료정보 표준화작업 중 가장 먼저 해야할 일에 대한 상세한 지침을 기술
	  
 	  * ASTM의 E31 기술위원회의 주요 표준안
	    - E1762는 보건의료정보의 전자 인증과 관련된 표준안
	    - E2086은 인터넷과 인트라넷의 보건의료 보안 관련 표준안
	    - E2117은 의무기록전사 질관리 프로그램의 식별 및 수립을 위한 표준안

	  * 국내 실정에 맞게 표준화된 EHR(←CPR)의 세부항목과 내용은 ASTM에서 채택하고 있는 환자 기록 객체 모델 방식에
	    의해 실체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 간의 논리 구조를 확정해야 함

 

 

11.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EMR.md
0.02MB

 

 

출처 : https://blog.naver.com/vae3085/220722769620

 

제11장 전자의무기록시스템 EMR

제11장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EMR   1.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의 필요성 &nbs...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728x90